데이터분석 6기/본캠프

2025-06-05 spark 가상환경/virtual box, ubuntu, moba

seyeon1130 2025. 6. 5. 22:03

설치

https://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7.1.6/VirtualBox-7.1.6-167084-Win.exe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ubuntu.com/download/server/thank-you?version=24.04.2&architecture=amd64<s=true (ubuntu 24.04 server version)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ome-edition.html (mobaxterm 리눅스 접근 인터페이스)
https://code.visualstudio.com (vs code 리눅스 접근 인터페이스)

우선 이걸 모두 설치해야한다.

 

이후 virtualBox 에 접근한다.

 

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

원래는 설치하고 딱 들어가면 무슨 웰컴 메세지만 보이고 네트워크가 안보인다.

상단에 있는 네트워크 누르고 생성하기 누르면 됨.

만들고 나면 어댑터 ->수동으로 어댑터 설정

여기서 주의할 점은 내가 만든 저 ipv4주소로 머신 주소 설정하면 안됨... 난 그랬다는....

sudo nano /etc/netplan/*.yaml 

그럼 여기 들어가서 바꾸면 됨

DHCP 서버는 활성화로 설정

Virtual Box 머신 생성

ctrl + n 누르거나 머신->새로 만들기 누르면 됨

여기 iso에 다운 받았던 우분투를 넣으면 됨.

무인 설치 건너뛰기 꼭 체크

하드웨어 설정은 4096에 2cpu 설정

하드디스크는 50gb설정

 

만들어진 머신에 오른쪽 마우스 누르고 설정 -> 네트워크 들어가기

어댑터 1에는 NAT 연결

어댑터 2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 연결

 

가상머신 두 번 클릭해 머신 실행

 

이 화면 나오기 전까지 계속 Done 누르다가 이 화면 나오면 수정해야함.

첫번째는 NAT주소니까 수정하면 안됨.

두번째 화살표 누르고 엔터 눌러서 수정

edit IPv4 누르고 메소드는 메뉴얼 누름

저기 192.부터 그대로 써주면 됨. 서브넷은 0/24로 하고 어드레스는 다르게 해야한다.

총 세 개를 만들어야 하므로 101,102,103 이렇게 만들것임.

save하고 그 다음도 계속 done done

 

이제 이 창에서 유저 네임과 비밀번호를 생성해야하는데, 이 때 머신 두 개 더 만들 때는 서버 네임은 다른 걸로 해야한다. 다른건 같아도 됨

 

또 done 하다가 ssh import 할 거냐고 나오면 엔터 눌러서 체크표시 누르기

우분투 설치하다가 이러는데 괜찮음

그냥 무시하고 엔터 치기

 

그럼 재부팅 시작함

아까 설정한 사용자 이름이랑 비밀번호 치고 접속

sudo apt istall net-tools 해서 인터넷 접속 설치

 

sudo systemctl start ssh 하면 ssh 시작

 

이제 모바 접속

new 생성해서 아까 만들었던 주소 넣기. 이름도 내가 작성한 이름 입력

비밀번호 치면 입력 완료

 

VS code 연결하기

우선 ssh를 vs코드에 깐다.

플러스 버튼 누르고 ssh 내가 설정한 유저@ 주소 친다.

맨 위에 선택

리눅스 선택한다.

 

비밀번호 입력하면 완료

 

 

그럼 우선 접속 끝!